읽기 전

  • 불필요한 코드나 잘못 작성된 내용에 대한 지적은 언제나 환영합니다.
  • 개인적으로 사용해보면서 배운 점을 정리한 글입니다.
  • 기술면접만을 준비하기보다 비전공자 입장에서 Network의 기본적인 내용만 짚기 위해 작성되었습니다.

암호

  • 평문 : 암호화하기 전 데이터
  • 암호키 : 특정한 비트 수로 이루어진 수치
  • 암호문 : 평문과 암호키로 수학적 연산을 수행해 암호화된 데이터
  • 복호화 : 암호문을 평문으로 되돌리는 과정

대칭키 암호 방식

  • 대칭키 암호 방식 : 암호화와 복호화에 같은 암호키를 이용하는 방식
    • 공통키 암호 방식이나 비밀키 암호 방식으로도 부른다.
    • 미리 송/수신 측이 암호키를 공유하고 있어야 한다.
    • 암호키의 공유가 어려움
    • 주 알고리즘으로 AES가 있다.

Technical_Interview_Network_008_001.png

공개키 암호 방식

  • 비대칭키 암호 방식이라고도 부름

  • 공개키와 비밀키에는 수학적 연관성이 있음

  • 공개키는 공개하되 비밀키는 유출되지 않도록 관리해야 함

    1. 송신자가 공개된 수신측의 공개키로 암호화
    2. 수신자가 송신측이 보내온 데이터를 비밀키로 복호화
  • 비밀키로 암호화하는 경우

    • 비밀키로 암호화하는 경우 공개키로 복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.
    1. 송신자 A가 비밀키로 데이터를 암호화
    2. 수신자 B가 송신자의 공개키로 데이터를 복호화 수행, 성공 시 송신자가 A임을 확인

디지털 인증

디지털 서명

  • 디지털 서명 : 데이터 송신처와 데이터 변조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인증 장치
    • 데이터의 해시값을 비밀키로 암호화
  1. 송신자 A가 보낼 데이터에서 해시값 생성, 송신자의 비밀키로 암호화하여 서명 값 첨부
  2. 수신자 B는 데이터와 서명값을 받고 A의 공개키로 서명을 복호화, 성공 시 A가 맞음을 증명
  3. 수신한 데이터로부터 해시값 생성, 복호화된 서명의 해시값과 비교하여 데이터 변조 판별

디지털 인증서

  • PKI(Public Key InfraStructure) : 공개키의 진위를 확인하여 공개키 암호를 안전하게 사용하도록 하는 인프라

  • CA(Certification Authority) : 인증 기관으로 디지털 인증서를 발급

    • 발급된 인증서는 서버에 설치
  • 디지털 인증서 발급

    1. 업체는 공개키와 비밀키 생성하여 비밀키를 안전하게 보관
    2. 공개키와 업체 정보를 CA에 보내서 인증서 발행 신청
      • CSR(Certificate Signaling Request) : 인증서 발행 신청
    3. CA는 요청을 검수, 심사하여 인증서 생성하여 회신
      • 인증기관의 비밀키로 서명
    4. 발행된 인증서를 업체 서버에 설치
  • 디지털 인증서를 활용한 공개키 인증 과정

Technical_Interview_Network_008_002.png

  • SSL : 디지털 인증서로 통신 상대 진위 여부를 보증해준다.
    • SSL로 암호화된 웹사이트는 https://로 시작한다.
  • SSL 암호화 : 공개키 암호 방식과 공통키 암호 방식을 포함한 하이브리드 암호
    • 디지털 인증서를 활용한 공개키 암호화 방식이다.

VPN

  • 인터넷은 도청 등의 위험이 있으나 WAN은 가격이 비쌈
  • VPN(Virtual Private Network) : 인터넷을 가상으로 사설 네트워크처럼 다루는 기술
    • 거점 LAN의 라우터 사이를 가상으로 연결(터널링)
    • 거점 LAN 간 통신은 터널을 경유하도록 라우팅
    • 터널 간 데이터는 암호화하여 송/수신
    • 터널로 경유하지 않는 데이터는 평소 인터넷처럼 암호화하지 않음

+ Recent posts